'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75건

  1. 7z 압축풀기 진행하기.
  2. 페이스북 회원가입 진행하기. 2
  3.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 간편진행하기.
  4. 한컴오피스 뷰어 다운로드 설치하기.
  5.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진행방법.
  6. 페이스북 페이지 커버 사이즈 만들기.
  7. 휴대폰 사진 컴퓨터로 옮기기 연결방법.
  8. 인터넷창 크기조절 고정하기.
  9. 삼성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 설치 모델별찾기.
  10. 컴퓨터 그래픽카드 사양 확인보는법.

7z 압축풀기 진행하기.

지금은 운영체제의 경우 버전이 높아지게 되면서 윈도우 자체기능 만으로도 대부분의 압축파일을 풀어주는 것이 가능하지만 확장자(7z, rar..)에 따라서 압축을 풀수가 없거나 대용량파일의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소요가 됩니다. 7z 포맷형식 파일의 경우 현재는 다양한 소프트웨어(7zip, 반디집, 알집등..)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7z 확장자를 가진 압축파일의 경우에는 7zip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압축한것으로 간편하게 7z를 압축하거나 풀어주기 위해서는 7zip이 있어야 합니다. 7zip은 전세계적으로 사용하고있는 외산 프로그램으로 국내에서도 사용자가 많아 이미 한글판으로 나온지도 오래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높은 압축률을 자랑하고 있는 프리웨어로 가볍고 호환성이 좋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7zip 프로그램의 경우에 지원이 가능한 포맷형식으로는 7z뿐 아니라 zip, rar등.. 다양한 확장자를 가진 압축파일을 빠르게 풀어주거나 분할압축도 손쉽게 진행해 볼수가 있으며 매년마다 최신버전을 지원하고 있네요.


■ 먼저 7zip 프로그램을 내려받기 위해서는 공식홈( http://www.7-zip.org ) 을 아래와같이 접속을 하시면 됩니다. 32bit, 64bit 두가지를 지원하고 있으며 윈10 버전 이라면 64bit를 받으면 되겠고 윈7 이하의 버전인경우라면 32bit를 받으시면 됩니다.




■ 설치진행과정은 매우간단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분할된 7z 압축파일을 풀기위해서는 첫번째 7z 파일을 선택후에 우클릭하여 메뉴에서 ' 7-Zip > 압축 풀기... '  를 선택하여 진행할수가 있습니다.




■ 압축풀기 대화창이 나타나게되면 풀어줄 위치를 지정하고 이름과 경로등을 선택하여 '확인' 단추를 누르면 간단하게 압축이 풀어지게 됩니다. 위치 경로등을 지정하지 않고 풀게되면 압축파일의 동일한경로에서 풀어지게 됩니다.




■ 반대로 7z확장자로 압축하기 위해서는 압축할 폴더 또는 파일을 우클릭하여 메뉴를 불러온후에 아래와같이 '7-Zip > 압축파일에 추가... ' 를 선택하여 주시면 됩니다.




■ 압축파일에추가대화창이 나타나게 되면 파일형식은 7z으로 하고 하단부분에 볼륨나누기, 바이트는 분할압축시에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M의 용량으로 분할 해야하는경우 아래와같이 선택하여주면 되겠죠.




7ZIP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설치시에 따로 실행아이콘이 필요하지 않으며 압축을 할때나 풀때에 파일또는 폴더를 우클릭하여 설정창을 불러와주시면 됩니다. 아시겠지만 대부분 7z 파일의 경우에는 대용량파일로 분할압축할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주사용한다면 7zip을 활용하는것이 좋겠죠.


페이스북 회원가입 진행하기.

초창기때에 패북을 알고나서 한참동안 열심히 활동을하다가 여러가지 이유(친구나 연인등..)로 인하여서 접었다가 다시시작을 반복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처음으로 페이스북(facebook) 을 시작한다면 간략하게 말해서 학교, 직장에서 친하게 지냈던 사람들을 찾거나 관심분야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하기위한 메신져라고 할수가 있겠죠.


페북의 유례를 간략히 살펴보면 2004년 2월 당시 미국에 위치한 하버드대학을 다니던 마크저커버그라는 사람이 개설을 하였으며 가장 성공한 소셜네트워크(SNS)로 알려져 있으며 온라인상으로 인맥을 넓혀가는 서비스라고 할수가 있답니다.


지금은 전세계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SNS로 가장많이 사용하는 매체라고 할수가 있으며 그래서 인지 회사뿐만 아니라 개인의 타임라인(홈피)로도 사용하고 있는데요. 페북은 휴대기기 에서도 최적화되어져 있어서 더욱 많이들 활용하는거 같습니다.


■ 페이스북 가입하는 방법은 그리어렵지는 않으나 좀더 상세한 진행과정이나 가입오류가 뜨는경우라면 단계별로 가입진행과정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페이스북( www.facebook.com ) 공식홈으로 아래와같이 접속하여 이름, 이멜, 비번, 생일등을 입력하여 '가입하기' 를 시작할수가 있답니다.




■ Facebook 계정을 만들려면.? 단계별로 설명이 나와있는데 1~3 번의 진행과정에 따라서 시작을 하시면 되며 가입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국내에서는 만 14세 이상이 되어야만 페북을 시작할수가 있습니다. 만 14세 이상인데도 가입오류가 뜬다면 익스플로러 오류일수가 있으니 크롬 웹브라우저로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 1단계로 친구찾기부터 진행을 할수가 있으며 주변에 내가 알고있는 친구, 가족, 연인등이 페북을 사용하고 있다면 이멜주소를 물러보고난후 친구찾기를 통해서 친구로 만들수 가있지만 나중에라도 언제든지 친구등록이 가능하니 귀찮다면 '건너뛰기' 를 해주셔도 됩니다.




■ 2단계는 프로필 정보를 입력할수가 있으며 고등학교, 대학교, 직장, 거주지, 출신지를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이 정보는 facebook에서 내가 친구를 찾거나 상대방이 나를찾는데 도움이 될수가 있으므로 정확히 적어두는것이 좋겠죠. 혹시라도 스토커가 있으면 주의하시길..;;




■ 3단계로는 관심분야를 선택으로 회원수가 많은 페이지나 그룹에 가입을 하여 관심사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할수도 있겠죠. 나중에라도 언제든지 검색을 통해서 관심분야의 페이지를 찾을수도있으니 귀찮으면 패스.~




■ 4단계는 프로필 사진으로 말그대로 내사진을 올릴수가 있으며 다른 친구들이나 관심분야의 사람들이 나를 친구로 등록할경우에 프로필 사진을 보고 좀더 쉽게 찾아볼수가 있답니다. 하지만 너무 이쁜사진을 올린다면 마찮가지로 스토커가 따라다닐수도 있답니다. ㅋㅋ




■ 모든 단계를 마쳤다면 마무리단계로는 사용중인 이멜주소가 맞는지를 가입절차를 완료하기 위해서 '이멜일을 확인' 해 주어야 합니다. 단계별로 대충작성했더라고 하더라도 나중에 다시 꼼꼼하게 수정을 해주셔도 됩니다.




참고로 페이스북의 경우에는 꼭 친구들과의 소통을 하기위해서라기보다는 지금은 페이지나 그룹을 통해서 여러가지 관련분야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하기도하고 새로운 친구를 만들어보기에도 좋은 매체가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 간편진행하기.

지금은 휴대하기가 간편한 노트북을 많이들 사용하기도 하지만 3D게임이나 그래픽툴을 다루기위해서 데스크탑으로 외장형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내장형 그래픽카드의 경우 메인보드내에 인텔(INTEL)과 같은 제품이 포함되어져 따로 드라이버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외장형의 경우에는 제품별로 드라이버를 별로도 설치를 해주어야 하는데요.


외장형 그래픽카드의 경우에는 지포스(nvidia)와 라데온(AMD)두가지 재품으로 분류가 되어져 있으며 장치관리자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지만 설치를 하기전에 어떠한 제품이나 사양을 몰라서 설치에 어려움을 겪을수가 있습니다.


내컴퓨터에 장착되어져있는 그래픽카드 제품의 사양을 잘모르거나 드라이버를 찾아보기 어렵다면 간편하게 그래픽카드 사양을 찾아서 재품에 맞는 드라이버를 설치할수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볼수가 있습니다.


■ 제품사양을 잘모르겠다면 간편하게 드라이버를 찾아서 설치할수 있는 3DP Chip 프로그램을 활용해 볼수가 있습니다. 먼저 아래와같이 3DP Chip 공식홈( www.3dpchip.com )에서 '3DP Chip > 최신 버전'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




■ 3DP 칩의 경우에는 윈도우 설치후에 하드웨어(그래픽,랜카드, CPU, 메인보드)의 시스템 사양을 확인하여 최적의 드라이버를 연동으로 '최신 버전 다운 로드' 를 아래와같이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해주시면 되겠죠.




■ 설치진행은 매우 간단하며 현재까지는 v17.11.1 버전까지 업뎃이 되었네요. 몇년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버전이 바뀐거보니 지속적인 관리를 해주는듯하네요.




■ 설치후에 아래와같은 창이 나타나는데 내 컴퓨터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의 사양을 한눈에 확인할수가 있으며 선택하여 제품에 맞는 '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 를 설치할수가 있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에 상관없이 포맷시에 랜이나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기가 어렵다면 3dp 유틸을 USB등에 저장해 둔다면 나중에라도 좀더 쉽게 세팅을 마칠수가 있네요.


한컴오피스 뷰어 다운로드 설치하기.

지금까지 사용해온 다양한 문서들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한컴오피스에 포함이 되어져 있는데요. 학업에서 주로사용되는 한글, 파워포인트나 업무에서 많이쓰이는 엑셀, 워드등이 모두 한컴에 있지만 각각의 프로그램과 파일형식이 다르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뷰어의 경우에는 문서를 만들거나 편집할수는 없지만 문서를 불러와서 읽거나 인쇄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로 한컴오피스 홈에서 사용자에게 제한없이 프리로 지원하고 있으며 한글(hwp), 워드(doc), 엑셀(xls), 파워포인트(ppt) 문서를 불러올수가 있습니다.


현재까지 개인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되면서 한컴오피스 2018 뷰어 버전까지 나와있으며 통합뷰어로 Widows 7/8/10 운영체제, 웹브라우저 Explorer 9.0이상 CPU:Pentium4 이상, RAM:1GM 이상의 권장사양을 두고있습니다.


■ 먼저 한컴오피스 최신버전 뷰어는 한글과 컴퓨터( http://www.hancom.com ) 공식홈을 통해서 내려받을수가 있습니다. 갠적으로 매년마다 사용해오면서 다운로드의 경로가 조금씩 달라지네요.




■ 경로는 아래에서 처럼 상단의 메뉴에서 '고객지원 > 다운로드' 경로의 위치에 있으며 일반용과 기업용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요. 한컴의 경우에는 한글, 한셀, MS워드, 엑셀문서를 불러올수있는 통합뷰어로 대부분의 문서를 불러올수가 있네요.





■ 한컴오피스 설치 진행과정은 매우간단하며 처음설치시에 ODF 불러오기/저장하기 및 PDF 불러오기를 위해서는 Visual C++..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다음단계로 진행할수가 있습니다.




■ 뷰어를 사용하여 문서를 열고자하는 파일형식을 선택(체크)한후에 '다음' 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대부분이 한글(hwp)문서를 열기위해서 뷰어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워드,엑셀,ppt도 추가로 체크해두면 좋겠죠.




가끔씩 과제나 업무용도로 이멜을 통해서 문서를 확인해야하는경우가 있는데 외부에서 PC에 한글등이 없는경우라면 위처럼 한글과 컴퓨터 홈을 통해서 뷰어를 내려받아 설치를 진행하여주면 되겠죠. 


경력증명서 인터넷발급 진행방법.

처음부터 오랜기간동안 다닐수있는 좋은직장을 구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경우도 많고 지금까지 어느정도 경력을 쌓고나서 새로운 일자리는 구하기 위해서는 신입이 아니라면 경력증명서는 필수라고도 할수가 있을텐데요.


이전에는 기존에 다녔던 직장을 직접찾아가서 경력증명서를 신청해야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얼굴을 봐야하는)불편함이 있었지만 지금은 굳이 찾아다닐필요없이 PC만 있다면 어디든지 쉽게 발급받을수가 있게되었습니다. 


지금은 나라에서 운영하고있는 국민연금공단 홈을 통해서 개인이 지금까지 다녔던 근로내역의 기간(년도), 사업자 명칭, 가입자종별로 상세하게 나와있으며 프린터 또는 팩스를 이용해서 발급을 받아볼수가 있게되었네요.


■ 근로자로 사업장에서 일을하게되면 4대보험중 하나인 국민연금가입은 필수라고 할수가있으며 연금에 가입된내역의 경우 경력증명서로 동일하게 사용해 볼수가 있는데요. 먼저 '국민연금공단( http://www.nps.or.kr )' 공식홈에 들어가서 아래와같이 '개인민원(신고/신청,조회/증명)' 메뉴를 선택합니다.




■ 계속해서 왼쪽상단의 '전자민원서비스 로고 > 개인서비스의 가입증명서(국/영문)'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주시면 되는데요. 홈의 설명에서와 같이 인터넷으로 발급받게되는 증명서의 경우 공단 민원실의 증명서와 동일한 효력이 있다고 합니다.





■ 모든 민원관련서류의 경우에는 온라인을 통해서 발급을 받야한다면 개인을 증명할수있는 공인인증서가 있어야만 합니다. (인증서가 없다면 본인이 거래하는 은행에 찾아가서 인터넷뱅킹을 신청시에 발급받을수가 있습니다.)





■ 로그인을 하였다면 국민연금가입내역이 목록으로 나타나며 프린터 발급, 또는 팩스 발급을 받으시면 되겠죠. 국민연금 가입내역의 경우에는 이전에 다녔던 직장의 기간, 사업자명칭이 나타나서 경력증명서를 양식으로 작성한것보다도 오히려 확실한 증명서가 되겠죠.




이처럼 지금은 인터넷만 된다면 어디서든 경력증명서를 어렵지않게 발급받을수가 있는데요. 요즘과같이 경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시대에 맞추어서 좀더 간편하게 서류를 만들어볼수가 있답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커버 사이즈 만들기.

처음에는 페북을 시작하게 되면서 소소하게 친구들을 만들고 취미에 맞는 그룹이나 페이지를 둘러보면서 내가좋아하는 게임등을 포스팅하면서 페이스북 페이지를 꾸미게 되면서 가장먼저 커버 이미지와 프로필사진을 만들어 업로드하는 것일텐데요.


커버사진은 페이지를 대표하는 이미지인 만큼 사이즈에 맞게 정성들여서 만들어야 하겠죠. 지금은 PC에서 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페북을 많이들 사용하게 되므로 PC와 모바일에서 적절한 크기에 맞게 커버를 꾸며주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페북의 커버 전체사이즈의 경우에는 ' 851 x 360 px ' 크기의 이미지로 업로드를 하게되면 PC와 모바일에서 최적화된 이미지로 꾸며줄수가 있으며 PC에서 보여지는 크기는 ' 851 X 315px ' 이며 모바일에서 보여지는 크기는 ' 640 X 360px' 입니다.


■ 때문에 PC에서 보여지는 커버크기와 모바일에서 보여지는 커버크기가 각각 다르므로 아래와같이 보여지는 영역에서 적절하게 그림이나 사진을 배치하여 꾸며주는것이 가독성을 높이고 보기좋게 꾸며줄수가 있답니다. 



 ▒ 커버 전체사이즈 : 851 x 360 PX(픽셀)


 ▒ PC : 851 X 315 PX(픽셀)


 ▒ 모바일 : 640 X 360 PX(픽셀)


 ▒ 프로필 사진 사이즈 : 170 x 170 PX(픽셀)



■ 먼저 커버를 추가해주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커버 추가 > 사진/동영상 업로드' 메뉴를 선택하여 폴더내에서 미리만들어둔 커버 이미지를 선택하여 불러오시면 되겠죠. 예제를 보여주기 위해서 전체사이즈(851x360)를 업로드해볼까요.





■ 커버로 사용할 이미지를 업로드하고나서 마우스로 끌어서 위치를 적당하게 조정한후에 '저장' 을 누르면 되겟죠. 위치를 조정하지 않으면 컴퓨터(PC) 커버크기(851X315px)   가 딱맞게 배치되는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 전체사이즈의 커버를 업로드하게되니 아래처럼 PC에서 보여지는 커버의 크기는 맞지만 모바일(640X360) 크기에서는 위와 아래가 약간씩(22.5px)씩 잘려서 보일수가 있으므로 적절하게 배치를 잘해주어야 겠죠. 




참고로 동영상으로 커버사진을 올릴수가 있지만 용량이 너무 큰경우라면 로딩속도가 느려질수가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1분이하의 동영상으로 크기는 820X312PX(픽셀)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서 올려주시면 되겠네요.


휴대폰 사진 컴퓨터로 옮기기 연결방법.

휴대하기 간편한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해서 캡쳐를 하거나 가까운 여행지를 찾아가게되면 주변의 풍경등을 휴대폰으로 찍는 모습을 어렵지않게 찾아볼수가 있는데요. 해상도가 높은 고가의 카메라에 비하면 화질이 떨어질수가 있지만 지금은 워낙에 기기가 잘나와서 이전의 주로사용했던 디카를 능가할정도이죠.


요즘에 나오는 휴대기기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브랜드별로 공식홈을 통해서 보관해둔 사진이나 음악등의 전송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지원하고는 있지만 재품마다 설정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를수가 있으므로 PC에 앱을 찾아서 설치하기가 복잡하거나 번거로울수가 있습니다.


휴대폰의 카메라기능으로 찎은 사진이나 캡쳐한 이미지를 PC에 옮겨서 내가만든 카카오톡이나 페북 SNS등에 올리기도 합니다. 갠적으로 지금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해 오면서 쉬운방식으로 폰의 사진을 PC로 옮기는 두가지 방식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 첫번째 방식으로는 휴대기기에 앱을 설치하지 않고 USB 연결선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휴대폰을 처음에 구입하게되면 기본적으로 USB연결선이 동봉되어져 나오게되는데 폰의 충전기잭과 PC의 USB 슬롯에 연결하는것으로 편리하게 사진을 옮기는것이 가능합니다.




■ USB연결잭은 연결하게되면 자동으로 인식을 하게되며 아래와같이 장치및 드라이브에 휴대폰의 아이콘이 생성이 되어져서 클릭을 해보면 휴대폰의 폴더내에서 찍은 사진을 캡쳐한 이미지를 찾아볼수가 있습니다.




■ 두개의 폴대에서 각각 저장이 되어져 있으며 'DCIM 폴더에는 카메라로 찍은사진' 이 들어가 있으며 'Pictures 폴내에는 캡쳐한 사진' 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폴더내의 사진을 복사하여 PC의 바탕화면등에 붙어넣기를 하여 옮겨넣으면 되겠죠. 위방식은 앱을 설치하지 않고 사진을 한꺼번에 옮길수가 있지만 옮길때마다 USB연결선을 연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기는 합니다.




■ 두번쨰 방식으로는 네이버클라우드 기능을 이용하는것으로 아래와같이 네이버홈에서 로그인후에 클라우드기능을 활용하여 폰과 무선으로 연동을 하여 언제든지 사진을 PC로 옮겨둘수가 있습니다.



■ 설정방식은 윈도우 탐색기를 선택하여 먼저 PC에 클라우드 프로그램을 설치후에 '모바일 앱' 으로 내폰에 문자를 전송하여서 휴대폰에 클라우드 앱 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 아래에서 보는것과같이 폰으로 문자가 전송이 되면 네이버 클리우드 앱을 열어서 설치를 진행할수가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앱의 설치를 마치고 '전체 올리기' 를 선택하게 되면 PC 클라우드로 폰 사진이 전송이 됩니다.


  



■ PC의 네이버 클라우드를 아래와같이 열어보게되면 방금 찍은 캡쳐나 사진등이 저장되어져 있는것을 볼수가 있으며 저장된 사진을 내려받기, 보내기등으로 사진을 관리할수가 있습니다. 




휴대폰에 앱을 따로설치하는것이 싫다면 USB 연결선을 이용하는방식이 좋겠고 자주 사진을 옮겨야 하는경우라면 네이버 클리우드 앱을 설치하여 휴대폰에서 컴퓨터로 사진옮기기을 편리하게 진행할수가 있습니다.


인터넷창 크기조절 고정하기.

지금은 이전과 다르게 모니터의 크기가 커지고 해상도가 높아지게 되면서 큰 화면으로 여러개의 인터넷창을 띄워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죠.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웹브라우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윈도우에서 기본제공하며 오랬동안 익숙한 iexplore(익스플로러)를 주로사용하게 되는데요.


인터넷(웹브라우저) 창을 열어 사용하다보면 가끔씩 글자가 너무 크거나 작아지게 되거나 모니터의 해상도크기에 맞지않게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모니터화면 에서 창의 크기가 최소화되어서 글씨가 잘 안보이거나 최대화로 크기가 너무큰경우 불편하게 보일수가 있습니다.


■ 인터넷 창을 열었을때 모니터의 해상도에 맞게 기본설정을 통해서 익스플로러 크기를 조절하여주거나 기본창으로 고정하여 줄수가 있습니다. 먼저 창을 열고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상단 오른쪽의 도구(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 기본설정으로 '도구 > 확대/축소 > 100% ' 크기를 조절하여 주시면 됩니다. 또는 마우스의 훨을 누른상태에서 위아래로 돌리게되면 창을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 합니다.




■ 웹브라우저 창을 열어보았을때 크기가 맞지않는경우라면 기본창의 크기로 고정해 줄수가 있습니다. iexplore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메뉴를 불러와서 '속성' 을 선택하여 속성대화창을 불러옵니다.




■ 아래와 같이 속성창을 불러왔다면 '바로가기탭 > 실행의 기본 창' 을 선택하여 적용해 주시면 됩니다.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대로 최소화 또는 최대화로 설정을 해주어도 되겠죠.




인터넷창 크기 조절과 고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참고로 속성창의 실행메뉴에서 최대화로 설정하게되면 창을 열었을때에 화면 전체크기로 고정되어 열리고 되며 최소화를 하게되면 반대로 창이 작게 열리게 되겠죠.


삼성 프린터 드라이버 다운로드 설치 모델별찾기.

이전에는 사무실에서 업무용도로 프린터기를 주로 사용하였지만 요즘에는 가정에서도 문서작성뿐만 아니라 민원 관련서류등을 홈페이지등을 통해서 인쇄를 할수가 있어서 사용하는 용도가 매우 다양해졌다고 할수가 있는데요.


지금은 다양한 모델로 프린터, 복합기가 워낙에 저렴하게 나오게되면서 그중에서도 삼성모델 제품의 사용자가 많은데요. 갠적으로 노트북을 몇년전에 구매하여서 서비스로 복합기를 받아서 현재까지도 이상없이 사용을 하고 있네요.


컴퓨터에 프린터기를 연결하고나면 인쇄를하기위해서는 모델에 맞는 드라이버를 찾아서 설치를 해야하는데 프린터기기에 동봉된 드라이버CD를 분실하여 없거나 찾을수가 없다면 삼성전자 공식홈을 통해서 프린터 모델에 맞는 드라이버를 찾아서 다운받아 설치를 할수가 있습니다.


■ 우선은 아래의 캡쳐화면과같이 삼성전자서비스( https://www.samsungsvc.co.kr/ ) 공식홈을 열고 ' 빠른 해결지원 > 다운로드 ' 카테고리를 선택하게되면 유용한 소프트웨어 에서 모델별로 드라이버를 찾아서 내려받기가 가능합니다.




■ 유용한소프트웨어를 보게되면 휴대폰, PC, 프린터, 기타등 각종 삼성기기를 지원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찾아서 설치할수가 있으며 'PC/프린터' 메뉴를 선택하여 설치 프로그램 을 내려받을수가 있습니다.



■ 삼성 프린터 설치프로그램창을 열리게되면 지원제품, 운영체제, 설치방법등을 안내하고 있으매 하단부분에 '다운로드' 메뉴를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할수가 있습니다. 위방식은 레이버 프린터와 복합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모델명을 직접 검색하여 드라이버를 내려받을수가 있습니다. 예제로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삼성 ' SL-J1660 ' 모델명을 입력해 보겠습니다. 제품에서 모델명의 위치는 뒷면 바닥부분에 모델명과 제조번호를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 모델명을 입력하여 찾았다면 아래의 예제와같이 'SL-J1660(모델명)' 을 선택하고 '드라이버탭 > 파일' 을 선택하여 파일을 내려받아 드라이버 설치를 진행하여 주시면 됩니다.





위와같이 삼성 프린터기 뿐만 아니라 다른종류의 기기들의 소프트웨어를 공식홈에서 지원하고 있으므로 동봉된CD가 없다면 모델명만 알고있다면 어렵지않게 드라이버를 다운받아서 설치를 진행해 줄수가 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카드 사양 확인보는법.

컴퓨터(PC)를 사용하면서 3D게임이나 그래픽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래픽사양이 되는지를 확인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PC를 자주다루는 사용자라면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그렇치않는 경우라면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수도 있죠.


우리가 매일같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CPU, 메인보드, 사운드카드, 그래픽카드의 하드웨어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그중에서 그래픽카드의 경우 화면의 해상도는 높여주거나 3D로 지원해주기도 합니다.


지금은 노트북을 사용하고있는 사용자도 많은데 노트북의 경우 기본 내장형 그래픽카드로 장착이 되어져 있으며 고사양 3D게임이나 3D캐드, 맥스등으로 작업을 해야하는경우라면 외장형을 따로 장착하여주는것이 해상도나 속도에서도 좋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 참고로 내장형의 경우 메모리를 같이 사용하지만 외장형의 경우 메모리가 따로 장착이 되어져 있으므로 3D작업이나 게임속도향상에서도 월등하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먼저 그래픽카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치 관리자' 를 아래와같은 형식으로 선택합니다.




■ 아래처럼 장치관리자창을 열어보게되면 '디스플레이 어댑터' 를 열어보게되면 그래픽카드 사양을 확인할수가 있으며 우클릭으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진행할수도 있습니다.




■ 좀더 상세하기 확인을 해보기 위해서는 실행(윈도우+R)창을 열고 'dxdiag' 명령어를 입력하여 진단도구창을 불러올수가 있습니다.




■ 진단도구창을 열어보게되면 디스플레이탭의 디바이스에서 그래픽카드 이름, 제조업체, 메모리등의 사양을 확인할수가 있으며 PC시스템등을 볼수가 있습니다.




위에는 윈도우10을 기존으로 작성하였으며 윈7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으며 '제어판 > 시스템및보안 > 시스템 > 장치관리자' 경로를 이동하여서 동일하게 그래픽카드 사양을 확인해 볼수가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