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75건

  1. 워드 pdf 변환 word기능활용하기.
  2. 엑셀 하이퍼링크 일괄삭제 설정하기.
  3. 윈도우 비밀번호 해제 설정하기.
  4. 파일질라 다운로드경로및 사용법.
  5. 구글 이미지 검색 저작권설정.
  6. 간이영수증 양식, 엑셀 한글받기.
  7. 이미지 파일 용량 줄이기 png, jpg등.
  8. 반디집 분할압축 풀기 쉽게설정.
  9. 드라이브 오류검사로 복구하기.
  10. 기본 브라우저 설정, 크롬 익스플로러등.

워드 pdf 변환 word기능활용하기.

지금까지 MS워드로 문서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갠적으로 업무용도로 한글보다 워드를 주로사용하는거 같네요. 가끔씩 문서파일을 PDF 이미지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멜로 협력업체에 문서를 전송해서 보낼때나 수정을 하지 못하도록 할때에 변환해두기도 할텐데요.


일반적으로 FDF(이미지)파일의 경우에 편집이 가능한 원본문서보다는 완성된 문서로 상대방에게 보여주기 위한 문서로 저장해 두기도 합니다. MS워드를 이용하여 문서작업을 하였다면 Word문서를 PDF파일로 변환해야하는 경우가있죠.


오피스관련 MS워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자체적인 기능으로 Word문서를 PDF또는 XPS로 저장할수있도록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기능에서는 변환이 안되므로 추가기능을 따로 설치해 둔다면 간단하게 변환을 해줄수가 있습니다.


■ 위에서 말한것과 같이 오피스 MS워드의 경우에는 자체기능을 이용해서 변환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추가기능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아래와같이 '추가 기능찾기나 다른형식' 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Microsof office 추가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다운로드센터 ( www.microsoft.com/ko-kr/download/office.aspx )로 들어가서 아래와같이 추가기능: PDF또는 XPS로 저장을 선택하여 설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 추가기능 설치를 마쳤다면 다시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게되면 아래에서 보는것과 같이 'PDF 또는 XPS' 메뉴가 추가생성되며 활성화된것을 확인해 볼수가 있습니다.




■ 다른이름 PDF또는 XPS를 선택하였다면 저장대화창이 나타나게 되면 파일형식을 PDF로 선택하여 '게시(저장)' 을 해주시면 됩니다. PDF로 변환한 파일을 열어보면 어도비에서 열리는것을 확인해 볼수가 있습니다.




위처럼 한번 추가기능을 설치하게되면 다음에 워드문서를 사용할때에도 활성화가 되므로 다음부터는 간단하게 워드(Word)파일을 PDF로 변환하는것이 가능하겠죠. 


엑셀 하이퍼링크 일괄삭제 설정하기.

업무용도로 주로사용되는 엑셀문서의 웹페이지와 같은 주소를 넣게되면 자동으로 링크가 걸리게 되는데요. 웹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하이퍼 텍스트, 하이퍼 링크를 적용 하게되며 클릭을 통해서 해당 웹페이지로 이동할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엑셀뿐만 아니라 오피스관련 프로그램이라면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텍스트나 숫자를 입력하여서 하이퍼링크를 걸기 위해서는 '삽입탭 > 하이퍼링크 삽입(Ctrl + K)' 을 선택하여 페이지뿐만 아니라, 그림, 메일주소등을 넣어줄수가 있습니다. 


엑셀문서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한문서내에 걸려있는링크가 적다면 우클릭후에 메뉴창을 불러와서 일일이 삭제해 줄수가 있지만 하이퍼링크가 많은 경우라면 일일이 선택하여 제거하는것이 쉽지가 않으므로 일괄삭제 기능을 활용해 볼수가 있습니다.


■ 먼저 아래의 문서에서 보는것과 같이 웹주소나 메일등을 입력하게되면 자동으로 하이퍼링크가 걸리게 되는데 셀을 선택후에 마우스우클릭하여 메뉴창을 불러와서  '하이퍼링크 제거' 를 선택하여 일일이 삭제하는것이 가능합니다.




■ 하지만 한문서내에 하이퍼링크가 많다면 일일이 제거하는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설정을 통해 일괄삭제가 가능합니다. 먼저 단축키 'Alt + F11' 키를 입력하여 Visual Basic창을 불러옵니다. 




■ 아래와같은 Visual Basic창을 불러왔다면 '보기 > 직접 실행창' 을 불러옵니다. 단축키로는 'Gtrl + G' 키를 눌러주어도 직접실행창을 불러올수가 있습니다.




■ 아래의 문서에서 보는것과 같이 직접 실행창에다 명령어 ' cells.Hyperlinks.Delete ' 입력하여 엔터를 친후에 창을 닫아주시면 됩니다. 문서내에 웹주소, 메일, 그림등의 하이퍼링크가 전부 삭제된것을 확인해 볼수가 있습니다. 



위처럼 비쥬얼 베이직(Visual Basic)창의 실행창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입력하면 일괄제거가 가능합니다. 엑셀로 업무용도로 문서를 작성하다보면은 가끔씩 사용하는 기능으로 명령어를 외워두기가 힘들다면 메모장등에 적어두면 좋겠죠.


윈도우 비밀번호 해제 설정하기.

지금은 휴대하기 간편한 노트북이나 테블릿PC를 많이들 사용하게 되면서 온라인이나 문서등을 작성하기 위해서 학교나 카페등에 편리하게 이동하면서 들고다니는 경우로 인하여서 PC에 비밀번호를 설정해 놓게 되는데요.


PC를 부팅하고 나서 모니터를 확인하여 보면 암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타나게 되는데 하루에도 몇번을 부팅하여 사용하게 될경우에는 매우 번거롭게 느낄수가 있습니다. 전원을 켜놓고 부팅이 완전히 될때까지 다른업무를 보는경우도 많은데 말이죠.


윈도우 7부터 윈도우 10 계열의 경우에 보안을 위해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를 넣으라고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전버전과는 다르게 사용자 로그인시에 사용자의 마이크로소프트 아이디로 로그인해야하는 경우도 있는데 간단한 설정을 통해서 해제를 해둘수가 있습니다.


■ 요즘에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10 기준으로 설정을 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암호해제를 위해서 제어판을 불러와야 하므로 하단의 작업표시줄의 검색을 선택하여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제어판' 을 입력하여 불러옵니다.




■ 불러온 제어판창에서 '사용자 계정 > 계정 유형 변경' 을 선택합니다. 암호변경 설정에서 기존의 암호를 입력하고 새암호를 공백으로 그냥 놔두고 나서 '암호변경' 을 하게되면 비밀번호를 해제할수가 있습니다.





■ 모든 윈도우계정의 로그인을 해제하기 위한 설정입니다. 윈도우시작 단추를 누르고 실행창을 불러와서 명령어 ' netplwiz ' 를 입력하여 계정설정창을 불러오도록 합니다. 





■ 사용자계정 대화창을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불러왔다면 빨간색 박스로 표시해둔 '사용자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컴퓨터를 사용할수 있음' 앞에 체크를 해지하고 적용하게되면 모든계정의 비밀번호가 해제가 됩니다.


위의 포스팅은 윈도우10을 기준으로 설명을 한것이지만 다른 계열의 버전이라고 하더라도 윈도우라면 동일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윈도위시작 단추를 누루고 톱니바퀴모양의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 암호추가' 설정이 가능합니다. 


파일질라 다운로드경로및 사용법.

이미 아시겠지만 FTP란 내호스팅(서버)에 자료를 전송하여 웹상에 홈페이지를 만들거나 이미지, 동영상을 올릴수있는 소프트웨어라고 할수가 있습니다. 파일질라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FTP와 서버를 지원하고 있죠.


파일질라(filezilla)의 경우에는 외산으로 국내 도메인이나 서버가 아니라도 좀더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국내에도 프리웨어로 지원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어떠한 제한이 없으며 특히 PC를 서버로 운영할때에 많이들 사용하기도 합니다.


■ 먼저 파일질라(FileZilla) FTP 클라이언트를 내려받기 위해서는 아래와같이 공식홈( filezilla-project.org )을 통해서 설치파일을 받으실수가 있습니다.  FileZilla Client는 FTP 이며, FileZilla Server은 PC를 서버화 시켜주는 클리이언트입니다. 참고로 파일질라 서버의 경우에는 접속인원의 제한이 없습니다.





■ client(FTP 클라이언트)를 선택하여 내려받는 과정에서는 Pro버전과 일반버전 두가지가 있으며 일반사용자는 아래와같이 일반버전을 선택하여 설치파일을 내려받으시면 되겠죠.




■ 설치가 끝나고 실행을 하게되면 아래의 이미지와같은 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상단의 입력창을 통해서 바로 연결을 할수가 있지만 여러계정을 사용한다면 사이트관리자기능을 사용하는것이 좋겠죠. 연결후에 업로드하고자하는 파일을 우클릭하여 '업로드' 를 해주시면 됩니다.




■ 연결을 하게되면 접속상태를 하단에서 알수가 있으며 왼쪽에는 사용자의 컴퓨터 디렉토리(폴더나 파일)이 보여지며 오른쪽에는 내 호스팅(서버)디렉토리가 나타나게 됩니다. '파일 > 사이트 관리자' 를 선택하여 볼까요.




■ 사이트 관리자를 통해서 여러계정을 추가할수가 있으며 호스트(홈페이지 주소), 사용자(ftp 계정 아이디), 비밀번호(ftp 계정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연결을 시도할수가 있습니다. 포트는 기본 21 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연결정보는 호스팅사마다 조금씩 달라질수가 있습니다.



연결후에는 파일들을 업로드하기 위해서 경로를 선택하여 업로드할 파일을 우클릭하여 옮기거나 마우스로 드레그하여 전송할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FTP 소프트웨어와 사용방식이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어렵지않게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 저작권설정.

갠적으로 갈수록 구글로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면서 이미지를 찾아서 보게되네요. 검색하여 찾아보게되는 이미지의 경우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디자인 관련된 업체에서도 웹사이트에 올려놓는경우가 있습니다.


여러사람들이 올려놓은 여러가지 이미지들이 있지만 무조건 퍼가서 사용한다면 저작권에 걸릴수가 있겠죠. 구글(google)에서는 이미지 검색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서 사용권한을 필터링 할수있는 옵션설정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상에서 돌아다니고있는 이미지들은 재사용이 가능한지와 수정후 사용이 가능한지 반듯이 확인해야만 합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 기능에서 자체필터링이 가능하지만 설정을 통해서 라이선스를 설정하는것이 좋겠습니다.


■ 먼저 구글크롬을 열어서 이미지만 검색하여 볼수가 있습니다. 아래와같이 구글홈피에 접속하여 상단우측에 있는 '이미지' 를 선택하여, 검색란에 텍스트를입력하여 검색을 합니다.



■ 이미지를 검색하고 나서 사용권한을 바꾸어주기 위해서는 상단에 있는 '설정 > 고급검색' 을 검색옵션창을 불러와서 저작권 이미지를 필터링 할수있는 옵션창을 불러올수가 있습니다.




■ 사용권한을 아래와같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하는 권한으로 바꾸어주시면 됩니다. 총4가지 권한 옵션이 있으며 크게 두가지 분류로 '상업적 용도' 또는 '비상업적 용도' 로 분류되며 이미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공유 또는 수정가능' 으로 변경해 주어야 겠죠.




■ 검색창의 설정에서도 '수정후 재사용 가능' 으로 설정이 가능한 옵션이 있습니다. 필더링이 된 이미지들로만 나타나게 되지만 좀더 확실하게 사용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배포하고 있는 홈피에 접속해 볼수가 있습니다.




■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들어가서 보게되면 '방문' 단추가 보입니다. 선택을 하게되면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는 홈피에 들어가보면 라이센스를 다시한번 확인해 볼수가 있습니다.




■ 이미지를 제공하고있는 공식홈으로 들어가보게되면 라이센스를 상세하고 표기하고 있으며 '상업적 용도로 사용가능' 이라고 표시가 되있죠. 하지만 굳이 비상업적인 용도라면 이렇게까지 확인하지 않아도 되겠죠.



위처럼 제공하고 있는 페이지를 방문하게되면 다시한번 라이센스를 확인할수가 있으며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서도 사용권한이 조금씩 달라질수도 있습니다. 


간이영수증 양식, 엑셀 한글받기.

일반가게나 소규모 판매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간이영수증이 필요하며 이전에는 이러한 영수증양식을 구하기 위해서 문구나 마트를 찾아가서 대량으로 구하여야 했지만 지금은 프린터기만 있다면 엑셀이나 한글파일로 인쇄를할수가 있답니다.


그리고 문구등에서 구할수있는 영수증양식의 경우에는 오래된문서로 형식적으로 되어져 있어서 정작 가게에서 사용해야할 영수증과도 맞지않을수도 있는데요. 때문에 가게에서 사용해야할 영수증을 양식에 맞게 직접 문서작성을 해야하는경우도 있죠.


번거롭게 문구에 찾아가거나 직접 문서작성하지 않아도 지금은 온라인을 통해서 누구나 어렵지않게 간이영수증 양식을 불러와서 원하는 약식으로 편집한후에 인쇄를 한다면 운영하고 있는가게에 맞는 영수증을 언제든지 만들수가 있겠죠.


■ 먼저 가장 많이들 이용하고 있는 엑셀로 간이영수증 양식을 받을수가 있답니다. 네이버의 '한글한글 아름답게( hangeul.naver.com ) > 한글문서' 캠페인에서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양식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한글문서 메뉴를 선택하였다면 '엑셀 > 간이영수증' 을 선택합니다. 엑셀문서에서 불러올수있는 다양한 양식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양식들을 편리하게 문서로 받아볼수가 있겠죠.





■ 받고자하는 영수증양식을 선택하였다면 '선택한 문서서식 받기' 로 양식을 받아 엑셀로 불러오게되면 아래와같이 영수증 양식을 받아볼수가 있답니다. 엑셀에서 약간의 편집을 하여서 인쇄를 하시면 멋진 양식이 만들어 지겠죠.





■ 한글에서도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양식을 지원하고 있답니다. 먼저 '파일 > 문서마당' 메뉴를 선택하게되면 자주쓰이는 양식등을 불러올수가 있으며 조금 오래된 양식이 기는하나 약간의 편집을 통해서 이용할수가 있겠죠.




■ 문서마당의 대화창을 불러왔다면 '문서마당 꾸러미 > 업무 문서 > 영수증' 을 찾아서 선택하여 열기를 합니다. 마찮가지로 한글에서 지원하는 영수증을 아래와같이 불러 와서 인쇄를하여서 사용하면 되겠죠.





간이영수증 양식을 엑셀과 한글문서로 위처럼 불러와서 사용해 볼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위처럼 문서로 불러온 영수증 양식에 상호와 등록번호, 주소등을 입력해 놓은다음에 인쇄를 하여 사용한다면 간편하게 받은금액만을 써서 소비에게에 준다면 편리하게 사용할수가 있겠네요.


이미지 파일 용량 줄이기 png, jpg등.

야외에 외출하다보면 주변에 경치가 좋거나 볼거리가 많은경우에 카메라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서 사진을 찍어두는경우가 있죠. 이렇게 찍어둔 사진을 컴퓨터를 이용해서 찾아보면 해상도가 높아서 용량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데요.


요즘에는 카톡이나 SNS등을 이용하여 찍은 사진등을 웹상에 올려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용량이 너무커서 곤란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미지의 경우 해상도나 화질이 높을수록 용량을 크게 차지하게 되며 반대로 해상도와 화질이 낮을수록 용량이 작아지게 되겠죠.


이미지의 용량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해상도와 화질을 낮추어주어야 하지만 원본과 차이가 많이나서 보기에도 좋지 않겠죠. 때문에 화질이 떨어지지 않고 용량을 줄여주어야 합니다.


■ 포토샵과 같은 편집툴이 없이도 화질이 떨어지지않고 이미지의 용량을 줄여주는 방법을 몇가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먼저 아래와같이 용량(크기)가 1.21MB JPG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용량을 줄여보도록 할까요.




윈도우에 기본으로 설치된 그림판을 이용하여 용량을 줄여줄수가 있습니다. 그림판을 열고 이미지를 불러왔다면 크기조정및 기울이기를 선택하여 '픽셀' 에서 가로와 세로의 크기를 원하는 만큼 조정하여 주시면 됩니다. (크기를 원본대로 하여도 용량을 줄일수가 있습니다.)




'파일 > 다른이름으로 저장 > PNG 또는 JPEG 선택' 하여 저장을 합니다. 참고로 윈10의 경우에는 하단작업표시줄 검색창에 '그림판' 을 입력하면 쉽게 불러올수가 있습니다.




■ 그림판에서 저장한 사진의 크기(용량)을 보면 1.21MB가 252KB로 대량 5배가량 용량이 줄어든것을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물론 필자는 해상도를 줄인것이지만 원본그대로 유지할 경우에도 30%정도 용량을 줄일수가 있습니다.




다른방식으로는 tinypng( www.tinypng.com )라는 웹사이트를 이용하는것으로 이미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곳이기도 합니다. 이곳에서는 PNG 또는JPEG 확장자를 가진 이미지파일을 품질 저하없이 50%가량 용량을 줄일수가 있습니다. 아래와같이 중앙에 있는 점선네모박스를 선택후에 폴더에서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 대략 30초 정도? 기다리게되면 아래와같이 변환이 완료가 되며 47% 가량 1.3MB에서 670KB로 줄어 들었다고 나타나게 됩니다. 오른쪽에 있는 'download -47%' 를 선택하여 변환된 이미지를 내려받습니다.




■ 변환하여 내려받은 이미지파일을 선택하여 파일정보를 보니 크기가 655KB로 용량이 줄어든것을 확인해 볼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원본품질과 비교해서 거의 그대로인것을 확인해 볼수가 있답니다.




요즘에는 다양한 사진편집툴이 있기는 하지만 설치를 하기에도 번거롭거나 간단하게 품질이 떨어지지않게 이미지의 용량을 줄여주고 싶다면 위처럼 그림판이나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용량을 줄여줄수가 있습니다. 


반디집 분할압축 풀기 쉽게설정.

최근에는 다양하고 쓸만한 압축관련 소프트웨어가 많이 나오게 되면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반디집(bondzip)의 경우에는 기능면 에서도 좋은편이며 대용량 파일을 분할압축하거나 풀기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반디소프트라는 기업에서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프리버전으로 제공을 하고 있으며 일반사용자 뿐만 아니라 기업또는 공공기관에서도 어떠한 제한없이 사용할수가 있다는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수가 있겠죠.


특이사항은 멀티코어를 활용하여 최대 6배까지의 빠른 압축이 가능하다고 하며 특히, 대용량 파일을 분할압축하거나 풀어줄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반디집을 이용해서 쉽게 분할압축과 풀기방법을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 보통 메일로 파일을 첨부하여 보낼때에 용량에 제한이 있는경우에 파일을 분할압축하여 나누어서 보내야하는 경우가 있죠. 먼저 반디집 공식홈( www.bandisoft.co.kr/bandizip )을 통해서 아래와같이 정식버전을 내려받을수가 있습니다.




■ 아직 PC에 설치가 되어져 있지 않다면 공식홈을 통해서 아래와같이 최신버전을 내려받아서 설치를 진행하여 주시면 되겠죠. 매년마다 최신버전이 나오므로 기존버전을 업뎃하거나 재설치를 해주시면 됩니다.




■ 바탕화면에 반디집 아이콘을 선택하여 열어보게되면 깔끔한 인터페이스로 중앙위치에 압축파일열기와 새로압축하기가 있으며 각각 선택하여 압축또는 풀기가 가능하나 좀더 편리하게 진행해 볼수가 있습니다.




■ 먼저 반디집을 이용하여 파일또는 폴더를 분할압축하기 위해서는 압축하고자 하는 폴더등을 선택후 우클릭하여 메뉴에서 '반디집으로 압축하기' 를 선택하면 설정창을 불러올수가 있습니다.




■ 아래와같이 새로압축대화창을 불러왔다면 '상세설정보기' 에 체크하여 분할압축에서 원하는 크기를 선택후에 '압축시작' 을 시작하여 주시면 됩니다.




■ 분할압축된 파일들은 크기(용량)이 동일한것을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분할압축파일의 경우에는 파일이름, 파일이름z01~z10 형식으로 되어져 있으며 파일이름 뒤에 확장자명이 없는 파일을 선택하여 우클릭후 '반디집으로 압축풀기' 를 선택하여 풀어주시면 됩니다.

좀더 쉽게 말해서 확장자 .z01 파일은 두번째 파일이며 첫번째 파일은 z00이지만 뒤에 확장자명이 붙지 않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대용량파일이나 분할로 압축하기 위해서는 위처럼 반디집을 활용하는경우가 많죠.


드라이브 오류검사로 복구하기.

평소에 컴퓨터(PC)를 사용하다 보면은 가끔씩 예상치못한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PC를 사용중에 재부팅이 되어지거나 갑자기 파란색화면(블루스크린)의 창이 뜨게 되면서 멈추어 버리는경우가 간혹가다 생기는경우를 볼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주요 원인의 경우에는 하드웨어(주변기기, 하드드라이브)인 경우이거나 소프트웨어의 깨짐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로 윈도우 포맷을 통하여서 오류를 복구할수도 있겠지만 하드웨어 오류라면 해결이 안될수가 있습니다. 


윈도우를 사용중에 특별한 원인이 없이 PC의 멈춤현상의 경우에도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있는경우에 발생할수가 있습니다. 윈도우 자체기능으로 디스크의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여서 복구를 진행하거나 디스크검사를 통해서 복구가 가능합니다.


■ 윈도우10 버전에서의 드라이브 오류검사를 진행하여 보도록 할까요. 아래와 같이 장치및 드라이브에서 '로컬 디스크를 우클릭 > 메뉴에서 속성' 을 선택후에 속성대화창을 불러옵니다. 




■ 로컬디스크 속성창을 불러왔다면 '도구탭 > 검사' 를 진행하여 드라이브에 파일 시스템의 오류가 있는지 검사를 진행합니다. 드라이버 검사를 진행하여 오류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수정여부를 결정하여 복구를 진행할수가 있습니다.



■ 윈도우7 버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오류검사를 진행해 볼수가 있습니다. 마찮가지로 '디스크 > 속성' 의 '도구 > 지금검사' 를 진행하여 파일 시스템 오류 자동수정과 불량 섹터 검사및 복구시도를 진행할수가 있습니다.



[포스팅 관련글] - 윈도우10 안전모드 부팅 방법설정하기.


부팅조차 어려운 상태라면 본체를 켜고나서 다시시작시에 'F8' 단축키를 연타로 누르고 안전모드 상태로 들어간후에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을 합니다. 참고로 그래도 해결이 안된다며 하드웨어에서 접속불량이나 본체에 먼지가 많이 들어간것일수가 있으므로 본체를 분리해서 주변기기의 먼지를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기본 브라우저 설정, 크롬 익스플로러등.

지금은 앱의 사용자가 늘어나게 되면서 윈도우10 버전의 경우에 기본 브라우저로 Microsoft Edge로 기본앱으로 설정이 되어져 있는데요. 항상 인터넷창을 열게되면 앳지(edge)로 인터넷창이 열리게되는데 사실 잘 사용하지않는 브라우저라고 할수가 있겠죠.


갠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할때에 크롬(Chrome)과 익스플로러 두가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크롬의 경우에는 속도가 빠르기도 하지만 특정한 웹페이지에서 ie에서 엑티브로 막히는경우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윈도우10 버전의 경우 아직까지는 잘사용하지 않는 edge가 기본브라우저로 설정이 되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게 되는 크롬 또는 익스플로러를 기본 인터넷창으로 열리도록 설정해 줄수가 있습니다.


■ 구글 크롬을 주로 사용하고있는 경우라면 크롬 기본브라우저 설정을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아래의 이미지에서 보는것과 같이 상단 우측에  '맞춤설정 >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설정대화창을 불러옵니다.




■ 설정창에서는 북마크, 글꼴, 페이지 확대축소, 검색엔진, 기본 브라우저, 시작 그룹을 설정할수가 있으며 '기본으로 설정' 을 선택하여 기본앱(브라우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기본 웹브라우저로 Microsoft Edge가 선택이 되어져 있는데 앱 선택을 크롬(Chrome)을 선택하여 변경을 해줄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윈10 버전의 경우에는 앳지로 권장을 하고있지만 지금은 활용성이 적다고 할수가 있겠죠.




■ 윈도우10 버전의 경우에는 자체기능으로 기본 브라우저를 변경해 줄수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윈도우 단추 > 설정(톱니바퀴모양)' 을 선택하여 설정메뉴에서 '앱' 을 선택합니다.





■ 앱메뉴에서 '기본웹 > 웹브라우저' 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웹브라우저를 선택후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변경하여 주면 되겠죠.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아이콘을 직접선택후에 edge, chorme, explorer를 인터넷창을 열어볼수가 있겠지만 문서작업등에서 웹링크를 선택할 경우에 기본 브라우저로 열리게 되므로 위처럼 자주사용하는 브라우저로 변경하여 사용하는것이 편리하겠죠.